편두통은 대부분 머리 한쪽이 아프며 전조증상인 시각이나 감각적 증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그렇다고 단순히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편두통은 신체 활동으로 악화하는 박동성 두통을 특징으로 한다.
두통 중 빛공포증, 소리공포증, 구역, 구토를 동반하는 만성 신경질환이다다.

편두통,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많이 앓아
편두통은 주로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여자가 남자에 비해 3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중등도 이상의 강도를 보이기 때문에 환자의 약 80% 정도가 두통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을 겪는다.
편두통 치료=급성 약+예방 약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급성기 약물로 통증을 완화하면서 두통의 빈도, 강도, 지속 시간을 줄이기 위해 예방 요법도 병행하는 게 필요하다.
편두통 발작이 시작되면 즉시 급성기 약물을 투여하는데 빨리 투여할수록 더 효과적이다.
예방약과 급성치료약 모두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하다.
[요약] 편두통 예방 약( 플루나리진 ) vs 급성 편두통 약(수마트립탄)
- 플루나리진은 편두통 예방치료 약물로 주로 사용하고, 수마트립탄은 급성기 편두통 치료에 사용한다.
- 플루나리진은 1일 1회 10mg을 저녁에 먹는다. 수마트립탄은 50~100mg을 1회 투여하되 재발하거나 일부 효과가 있는 경우 2시간이 지나서 같은 용량을 다시 복용한다.
플루나리진(Flunarizine) | 수마트립탄(Sumatriptan) | |
적응증 | 중증의 난치성 편두통 및 전정기관 기능이상에 의한 어지러움 | 전조증상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편두통 및 여성의 생리 주기와 관련된 편두통의 완화 |
작용 기전 | 칼슘채널차단제 | 선택적 5-hydroxytryptamine(5-HT) 작용제 |
구분 | 편두통의 예방 치료제 | 급성기 편두통 치료제 |
복용 | 1일 1회 10mg 저녁에 투여 | 두통의 증상이 나타나면 50~100mg 을 1회 투약하며, 두통이 재발하거나 일 부효과가 있는 경우 2시간이 지나서 같 은 용량을 재차 투여(1일 최대 300mg 을 넘지 않도록) |
대표 약 | 헤다크캡슐 등 174종 | 수마트란정50밀리그램, 이미그란정50밀리그램 등 213종 |